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로고

[사건&이슈]“화물 고정하지 않은 채 운항” 생존자 진술 나와

서해호 사고 종합상황실 마련ㆍ실종자 찾을 때가지 수색 작업에 총력, 왜 전복 됐나

전국지역신문협회 충남공동취재팀 | 기사입력 2025/01/08 [17:46]

[사건&이슈]“화물 고정하지 않은 채 운항” 생존자 진술 나와

서해호 사고 종합상황실 마련ㆍ실종자 찾을 때가지 수색 작업에 총력, 왜 전복 됐나

전국지역신문협회 충남공동취재팀 | 입력 : 2025/01/08 [17:46]

▲ 충남도, 예비비 긴급 투입 실종자 수색 박차     ©

 

서해호 전복 사고 마지막 실종자를 찾기 위해 200톤급 해상크레인 등을 동원해 서해호와 덤프트럭, 카고크레인 등에 대한 인양 작업을 시작하고 있다.

 

3일 도에 따르면 서해호는 1230일 오후 626분경 서산 우도에서 선장과 선원 7, 24톤 덤프트럭, 11톤 카고크레인 등을 싣고 구도항으로 이동하던 중 전복됐다.

 

이 사고로 덤프트럭 기사 1명이 실종 상태이며, 선장 1명과 선원 등 3명은 숨진 채 발견됐다. 굴착기와 카고크레인 기사 등 2명은 사고 직후 구조돼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귀가했다.

 

현재 서해호는 고파도 인근 해상에 뒤집힌 채 떠 있으며, 덤프트럭은 고파도 인근 해저 뻘층에 뒤집힌 채 절반쯤 묻혀 있고, 카고크레인은 덤프트럭 위에 뒤집혀 있는 상태다.

 

도는 실종자 수색을 위해선 서해호와 덤프트럭, 카고크레인 인양이 우선 필요하다고 보고 예비비 4억 원을 긴급 편성해 200톤급 해상크레인 등을 투입, 인양 작업을 본격 추진한다.

 

도 관계자는 덤프트럭과 카고크레인이 포개져 있는 상태로, 이들 장비를 건져내지 않고서는 수색이 불가하다고 판단, 조속하게 인양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김태흠 지사는 지난 1일 서해호 사고 종합상황실이 마련된 서산시 팔봉면 구도항 어민회관에서 덤프트럭 기사 가족을 만나 실종자를 찾을 때가지 수색 작업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약속했다,

 

이와 함께 김 지사는 사고 선박 보험 가입 여부, 사망자 유가족에 대한 지원 방안, 외국인 사망자 유가족 입국 상황 등을 살피고, 유관기관 간 긴밀한 협업을 통해 생활안전지원금 지원 등 사고 수습에 만전을 기하라고 강조했다.

 

한편, 전복된 서해호가 화물을 선체에 고정(고박)하지 않은 채 운항했다는 생존자 진술이 나왔다. 고박 불량 등으로 균형을 잃고 침몰한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12년이 지났지만, 현장의 선박 관리와 고질적인 안전불감증은 달라지지 않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차량 등을 싣는 차도선인 서해호는 중장비를 4대까지 싣고 운항하던 중급 선박으로 알려졌는데 생존자 A씨에 따르면 서해호는 결박 장치도 갖추지 않았으며 고박 장치도 안 보였다는 것이다. 당시 선장 지시에 배에 올랐고 선원, 탑승객 그 누구도 고박 이야기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화물을 선체와 고정하지 않고 운항하는 것은 명백한 불법이다. 국제해사기구(IMO) 지침과 한국 선박안전법에서는 화물 해상 운송 시 견고한 고정을 의무화하고 있다. 로프, 체인, 스트랩 등 고정 장치는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하며, 항해 중 화물이 움직이지 않도록 선박 복원력과 전복 위험을 고려해 적재해야 한다.

 

세월호 참사 이후 해양수산부, 해경 등 관련 기관이 불시 단속을 벌여왔지만, 서해호는 이를 피해 간 셈이다. 세월호는 화물을 과하게 실은 데다 적재된 화물을 적절하게 고정하지 않은 채 출항했고, 배가 갑자기 크게 회전하면서 선체 내 화물이 한쪽으로 쏠리며 복원력을 상실, 침몰로 이어졌다.

 

해경은 생존자의 진술을 근거로 서해호가 고박 지침을 어긴 것으로 보고, 폐쇄회로(CC)TV, 차량블랙박스 등을 확보, 해당 사실을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 도배방지 이미지

포토뉴스
메인사진
아산소방서, ‘차량용 소화기’ 비치 홍보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